김서방유쾌한소식(무료로 불치병 직접 치료하기) :: 치아에 금이 간 경우 붙일 수 있을까?

달력

22025  이전 다음

  • 1
  • 2
  • 3
  • 4
  • 5
  • 6
  • 7
  • 8
  • 9
  • 10
  • 11
  • 12
  • 13
  • 14
  • 15
  • 16
  • 17
  • 18
  • 19
  • 20
  • 21
  • 22
  • 23
  • 24
  • 25
  • 26
  • 27
  • 28

치아에 금이 가거나 쪼개진 경우 치아를 살리는 개념

 

생활 중에 치아에 금이 가거나 쪼개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. 이 경우에 무조건 발치해야 할까요?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. 

 

thumbnail

 

금 간 치아를 살리는 치과 의사는 없다

치아에 금이 가는 경우 치과에 방문합니다. 환자는 치아에 금이 가는 경우 치아를 살릴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처음부터 갖지 못할 것입니다. 치아가 쪼개지거나 금이 가는 경우 그 치아는 그 자체로 생명이 끝난다고 여겨지거든요. 금이 간 치아를 붙인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도 없고,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관점에 근거하여 생각해 보면 치아가 다시 붙을 거 같지 않습니다. 치과 의사에게 쪼개진 치아를 살릴 수 있느냐고 물어보면 의사도 그런 일은 가능하지 않아도 말할 것입니다. 치과 의사는 금 간 치아를 살려주는 전문가가 아닙니다. 의사는 썩은 치아를 갈아서 보철물을 넣어주는 전문가이지요. 사실 쪼개진 치아를 다시 붙이는 일은 쉬운 일도 아닙니다. 

 

이 글을 작성하는 저도 쪼개지거나 금이 간 치아를 다시 살리는 일이 쉽게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. 그리고 큰 충격을 받아서 치아에 금이 생겼을 때 발치하지 않고 붙였다고 자신의 사연을 말해주는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. 그러나 필자가 주변 사람과 치아에 대한 이야기를 하던 중에 치아가 다시 회복시키는 게 왜 가능하다고 생각하지 못할까 하는 의문을 갖게 되었습니다. 지인은 필자에게 치아기 다시 붙어서 정상으로 회복 될 수 있겠느냐고 물어보았고 그 질문에 대해서 깊은 생각을 했었습니다. 아직 쪼개진 치아를 자연적으로 붙이는 방법으로 살렸다는 환자의 사례를 들어본 적은 없었지만 필자가 알고 있는 몸의 치유 작용을 근거로 생각하니까 발치하지 않고 쪼개진 치아를 살릴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입니다. 

 

이런 경우 발치하지 않고 치아를 살렸다는 이야기를 들어본 사람이 있는지 모르지만 필자는 들어본 적은 없습니다. 그러나 어떤 경우에도 치아를 살릴 수 있으면 살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. 그래서 치아를 살릴 가능성이 많지 않아도 살리기 위해서 먼저 노력을 해야 할 것입니다. 마지막에 노력이 효과가 없다고 해도 최선을 다해서 치아를 살리기 위해서 노력하고 최후에 안 되는 경우에 발치를 하는 것이 더 유익할 것입니다. 노력을 해보고 치아가 붙으면 좋은 일이고 그 노력의 정성을 통하여 상실할 운명의 치아를 살리는 것은 엄청난 가치가 있는 일이니까요. 노력도 해보지 않고 그냥 포기하는 건 가장 쉬운 일입니다. 누구나 할 수 있고 언제든지 가능한 일입니다. 치아를 상실하면 다시는 치아를 되돌릴 수 없기 때문에 치아를 살리는 방향으로 노력해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. 치아 하나를 상실하면 불편하며 저작효율이 저하됩니다. 저작효율이 저하되면 음식물 소화도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. 사실 치아가 쪼개지거나 금이 가는 경우 치아를 포기하는 건 너무 아깝습니다. 다른 건 다 괜찮은데 단지 금이 갔다는 이유로 치아를 포기하는 걸 인정하기도 어렵습니다. 그러니까 한 번 살리기 위해서 시도는 해볼 필요가 있는 것이지요. 

 

쪼개진 치아를 붙일 수 있는 치료근거

필자에게 만일 저에게 사고가 나서 치아에 금이 간다면, 저는 발치부터 하지 않고 치아의 금간 치아를 자연적으로 붙이는 노력을 해볼 것입니다. 금 가거나 쪼개진 치아를 다시 붙이는 개념을 설명해 보겠습니다. 치아는 뼈입니다. 다만 보이는 뼈이지요. 몸의 다른 부위에서 뼈가 부러지는 경우 부러진 부위의 말단 부위를 자르는 경우는 없습니다. 부러진 부위를 잘 맞추어 뼈가 다시 붙게 하여 기다립니다. 스프린트를 대어서 움직이지 못하게 고정시키면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다시 붙습니다. 뼈가 붙는다는 건 치아도 붙는다 걸 뜻합니다. 금 간 치아를 붙이는 발상을 생각한 사람이 없겠지만, 부러진 뼈가 붙는다는 사실은 치아도 붙일 수 있다는 근거가 되는 것입니다. 

 

 

쪼개진 치아를 붙이는 방법

다만 금간 치아를 다시 붙이는 건 몸의 다른 부위에서 부러진 뼈를 붙이는 거와는 상황이 다릅니다. 치아는 작고 일상생활동안 사용을 많이 해야 됩니다. 수시로 적어도 하루에 세 번은 음식을 먹어야 하는 게 가장 큰 걸림돌이겠습니다. 음식을 씹어야 하니까 부러진 치아에 조금이라도 충격을 주면 금 간 부위는 틈이 더욱 벌어지고 붙는 작용은 생길 수 없게 되겠지요. 그러나 어려워도 이런 부분을 극복할 수 있다면 치아를 붙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. 치아가 떨어진 상태가 아니고 금 간 상태에서 정교하게 붙어 있는 상태라면 해당 치아가 생활 중에 교합되지 않게 하고 치아를 스프린트로 고정시키고 일정 시간이 흐르면 치아는 다시 붙을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 봤습니다. 이때 해당 치아가 조금의 충격도 받지 않도록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가능합니다. 그래서 이 조치를 취해줄 수 있는 전문가가 있으면 좋은데, 사실상 금 간 치아를 회복시켜본 치과 의사는 없을 테니까 전문가에게 맡기는 일은 처음부터 가능하지 않을 것입니다. 그러나 금이 간 치아에 충격을 가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만드는 것은 치과의사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 그 장치를 만들어야 하니까 그러합니다. 이런 부분을 이해하는 치과 의사를 만나야 하겠지요. 충격을 받지 않게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, 뼈가 빨리 붙도록 노력하면 될 것같습니다. 그건 적극적으로 영양을 섭취하는 일입니다. 특히 부러진 뼈를 빨리 붙게 해주는 식품, 홍화씨 가루를 먹으면 통상적인 회복기간보다 더 앞당길 수 있을 거라고 가정해 보겠습니다. 사고를 당한 분께서 치아를 보존할 기회를 생각해 보시라고 이 글을 작성했습니다. 

 

금 간 치아를 붙이는 일은 쉽지 않습니다. 어떤 사람은 차라리 발치를 생각할 테지만 가능성이 있다면 포기보다 보존이 더 유리합니다.

 

Posted by 김서방이간다_(*+_
|